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때, 주행거리에 따라서 점검해야 하는 사항도 조금씩 달라지는데요.
한 눈에 보는 주행거리별 점검사항!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 에어클리너 필터
- 엔진 출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오염 상태 점검하기
- 타이어 위치 교환
- 타이어 편마모 현상 예방을 위해 타이어 4개의 위치 교환하기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마모 상태 점검하기
주행거리가 10,000km일 경우에는 무엇을 점검해야 할까요?
먼저,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해주는 에어클리너 필터를 점검해야 합니다.
에어클리너 필터가 오염되면 엔진 수명이 단축되고 엔진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요.
따라서, 주행거리 10,000km마다 꼭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교체해야 합니다.
주행거리 10,000km가 넘어가면 타이어의 편마모 현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전습관에 따라서 자동차의 바퀴 4개가 각자 마모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앞뒤,좌우 타이어의 위치를 바꿔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점검도 필요합니다.
브레이크는 바퀴의 회전축에 디스크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붙여서 속도를 줄이는데요.
이 과정에서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마모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는 안전과 직결된 장치이니, 점검주기를 지켜주세요!

주행거리 15,000km
에어컨 필터 - 자동차의 실내 공기질과 냉난방 성능을 위해 오염상태 점검하기
주행거리 20,000km
브레이크 호스 - 브레이크액 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안전상태 점검하기
주행거리가 15,000km라면 에어컨 필터를 교체해야 합니다.
에어컨 필터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요.
에어컨 필터가 오염되면 자동차의 실내 공기가 나빠지고 냉난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요.
만약, 비포장도로나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지역을 장기간 운전한다면 더 자주 점검해서 오염상태에 따라 교체해주세요!
주행거리가 20,000km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호스를 점검해야 합니다.
브레이크 호스는 브레이크액 또는 공기압을 전달하는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데요.
안전을 위해서 점검주기에 따라 점검을 받아야겠죠?

주행거리 30,000km
연료 필터 - 연비 저하, 엔진 소음 예방을 위해 점검하기 *가솔린 엔진 제외
주행거리 50,000km
자동차하부 - 모래, 빗물 등에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손상 여부, 볼트 조임 점검하기
주행거리가 30,000km라면 연료 필터를 점검해주세요.
연료 필터는 연료 내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인데요.
오염될 경우,연비가 떨어지고 엔진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 가솔린 엔진의 연료필터는 차량 수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 점검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하지만 운전습관에 따라서 필터의 수명이 다 할 수 있으니,
엔진 출력이 줄어드는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서비스센터를 방문해서 교체해주세요.
주행거리가 50,000km라면 자동차 하부를 점검해야 합니다.
자동차 하부는 주행을 하면서 도로위의 자갈, 모래, 빗물 등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부분인데요.
따라서 손상을 입은 곳은 없는지, 볼트가 느슨해진 곳은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 전일 운전 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체크했나요?
- 연료, 엔진 오일, 냉각수, 브레이크액은 충분한가요?
- 와이퍼의 작동이 양호하고 워셔약은 충분한가요?
- 타이어에 이상 마모가 없고 공기압이 적당한가요?
주행거리와 상관없이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먼저, 전일 운전 시 이상이 있었던 부분이 정상으로 돌아왔는지 확인해주세요.
여전히 문제가 있다면 정밀점검을 받아야합니다.
연료, 엔진 오일, 냉각수, 브레이크액은 일상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운전자의 시야에 영향을 주는 와이퍼와 워셔액도 수시로 확인해주세요!
운전 중에 타이어에 문제가 생기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타이어에 이상 마모가 있지는 않은 지, 공기압은 적당한지 확인해주세요.
자동차의 안전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운전자의 선택이 아니라 의무입니다.
운전 전에 기본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주행거리별 점검주기를 지켜주세요!
단, 차종별로 점검주기가 다를 수 있으니 해당 차량의 취급설명서를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죠?
자동차 정기점검! 자동차의 건강과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