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놀이안전

2019-11-25
산행 전에 필수 체크!겨울철 산행 안전수칙

겨울은 날씨가 춥고,길이 미끄러워서 산에 오르기 힘든 계절입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설경을 감상하기 위해서 겨울에도 산을 찾는 분들이 많은데요.
겨울 산을 안전하게 즐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게요!

등산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등산사고 원인별 현황

추운 날씨 때문에 등산객이 줄어드는 겨울철! 하지만 등산사고는 매년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재난연감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발생한 겨울철 평균 등산사고 건수는 12월 365건, 1월 470건, 2월 446건에 이르렀습니다.
인명피해는 12월 259건, 1월 389건, 2월 344건 발생했는데요.
등산사고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실족과 추락이 2,577건(36%)으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으로는 조난 1,364건(19%),
안전수칙 불이행 1,173건(17%), 기타 1,157건(16%), 개인 질환 848건(12%) 순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2017년 1월에는 등산 중 발생한 실종자가 월평균 11.5명보다 많은 14명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계절보다 등산객이 현저히 적은 계절임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더 많이 발생했다는 거죠!

샛길 탐방 특별 주의! 자연공원법 위반 행위 현황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실족 추락, 조난 사고 등을 주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면 사고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자연공원법 위반 행위를 단속한 결과,
샛길 출입이 5,803건으로 가장 많았는데요.
샛길은 낙석이 많고, 추락의 위험도 높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해도 구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또한 식물의생장을 방해하고 야생동물의 이동과 번식을 방해하는 등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는데요.
이러한 심각성으로 인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8년 5월부터 기동단속팀을 운영하여
‘국립공원 비법정탐방로(샛길)’에서 일어나는 불법 산행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안전과 환경을 위해 샛길은 출입 금지! 잊지 말아 주세요!

겨울철 산행 시 꼭 지켜야 할 것! 겨울철 산행 안전수칙

샛길 탐방을 하지 않는 것 외에도 겨울철에 산행할 땐 주의해야 할 점이 많습니다.
먼저,산행 전에기상정보를 확인하고 방한복, 모자, 장갑, 등산화 등산행용품을 철저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이때, 기온이 내려가면 몸은 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니 초콜릿처럼 열량이 높은 간식을 챙기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체력에 맞는 산행 코스를 선정해야 합니다.
겨울 산행 중에는 타박상과 심장마비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등산하기 전에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해주세요!
눈 덮인 등산로에서는 기존에 찍혀 있는 발자국을 따라서 걷는 것이 안전합니다.
만약 발자국이 없다면 신발 바닥 전체로 지면을 밟아서 누르듯 걸어야 합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해가 짧아서 금세 어두워지니, 산행을 일찍 시작하고 일찍 끝내야 해요.
특히 산은 해가 더 빨리 지니, 오후 4시 이전에 산행을 마쳐주세요.
실족, 조난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혼자서 산행하는 것은 금지! 최소 2~3명이 함께 산행해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산행을 할 땐 안전에 더 유의해야 하는데요.
더 자주 휴식을 취하고, 무거운 배낭을 지면 신체 발육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8세 전후에는 배낭의 무게가 최대 3kg이 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무엇보다 산행이 힘든 아이에게는 무조건적인 동행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안전 정보 확인하기!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

안전하게 산을 오르려면 대피소 위치, 위험지역 정보 등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데요.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은 전국 국립공원의 안전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전국 국립공원의 날씨나 지도, 추천코스는 물론, 야영장,화장실, 대피소, 주차장 등 주요 시설물을 확인할 수 있어요.
또한 멧돼지 주의, 낙뢰 주의, 추락 주의 등 위험지역의 안전사고를 알려주고 일몰 하산 안내 기능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쉼터 안내정보, 안전수칙정보와 기상특보 발표 시 대피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또한 메인 메뉴의 구조요청을 누르면 현재 위치와 전화번호를 국립공원관리공단 재난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어요!

겨울철에는 캠핑 할 때도 특별 주의! 겨울철 캠핑 안전 팁

겨울산에서 캠핑을 즐길 땐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요?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 때문에 텐트 안에서 난방 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때, 일산화탄소가 증가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산화탄소 농도 0.04%인 경우에는 두통이 발생하지만 0.16% 이상인 경우에는
응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텐트의 상, 하단 환기창을 10cm 이상 열어서
환기하고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준비하는 것이 안전해요.
또한 춥더라도 밀폐된 공간에서 고기를 구워 먹거나 불을 피우는 건 매우 위험한데요.
텐트 입구에서 고기를 구워도 일산화탄소가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겨울 캠핑은 추운 날씨에 오랫동안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체온증이나 동상에 걸릴 수도 있는데요.
텐트는 햇빛이 잘 비추는 양지바른 곳에 설치하고, 내복, 장갑, 털신을 신어서 체온을 유지해야 합니다.
젖은 옷이나 양말은 바로 갈아입어 주세요!
또한 바닥을 여러 겹으로 만들거나 야전침대를 사용해서 냉기를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겨울철에 안전하게 산행을 즐기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겨울철 특별한 추억을 쌓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건 안전이겠죠?
이번 시간에 알아본 안전수칙을 꼭 기억해서, 안전하게 겨울 산행을 즐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