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교통안전

2020-11-20
보이지 않아도 거기 ‘도로 살얼음(블랙 아이스)’이 있어요!! (feat. 고위험 결빙 구간 56 곳)

‘도로 살얼음’을 아시나요? 도로에 생기는 얇고 투명한 얼음막을 말하는데요.
검은색 아스팔트 도로와 색이 비슷해 ‘블랙 아이스’라고도 불리죠.
도로 색과 비슷한 만큼 운전자가 식별하기 어려워 사고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데요.
오늘은 겨울철 운전 시 꼭 조심해야 할 도로 살얼음의
위험성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눈길보다 미끄러운 ‘도로 살얼음’ [차종에 따른 노면별 제동거리]
            승용차 - (마른 노면)11m, (빙판길)48.3m /4.4배 증가,
            화물차 - (마른 노면)14.8m, (빙판길)110m/7.4배 증가,
            버스 - (마른 노면)17.2m, (빙판길)132.3m/7.7배 증가

2017년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실시한 ‘빙판길 제동거리 측정 시험’에 따르면 마른 노면보다
빙판길에서 제동 거리가 차종에 따라 4.4배(승용차)에서 7.7배(버스)까지 늘어났습니다.
또한, 도로 살얼음의 경우 마찰계수가 0.5 이하까지 떨어져 일반 도로의
최대 14배, 눈길의 6배 더 미끄럽다고 발표했죠.

[2018년 노면 상태별 교통사고 분석 결과]
            노면상태 - 합계 / 사고 건수 - 196.166건 / 사망자 수 - 3,225명 / 부상자 수 - 291,667명 / 치사율 - 1.64% / 마른 노면 대비 치사율 - 0,
            노면상태 - 건조 / 사고 건수 - 193,899건 / 사망자 수 - 3,190명 / 부상자 수 - 287,743명 / 치사율 - 1.65% / 마른 노면 대비 치사율 - 1.00%,
            노면상태 - 적설 / 사고 건수 - 894건/ 사망자 수 - 10명 / 부상자 수 - 1,500명/ 치사율 - 1.12% / 마른 노면 대비 치사율 - 0.68%,
            노면상태 - 서리·결빙 / 사고 건수 - 1,358건 / 사망자 수 - 24명 / 부상자 수 - 2,402명 / 치사율 - 1.77% / 마른 노면 대비 치사율 - 1.07%,
            노면상태 - 해빙 / 사고 건수 - 15건/ 사망자 건수 - 1명 / 부상자 수 - 22명 / 치사율 - 6.67% / 마른 노면 대비 치사율 - 4.05%
            (출처: 도로교통안전공단(2019년))

아울러 도로교통안전공단이 2019년에 발표한
'2018년 노면 상태별 교통사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로에
눈이 쌓여 얼었을 때보다(서리/결빙) 얼음이 녹을 때(해빙)
교통사고 치사율이 3.7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눈이 쌓인 도로(적설)의 경우 치사율이 1.12%로 마른 노면(건조, 1.65%) 보다 낮았습니다.
즉, 슬러시 도로일 경우에는 눈이 내리거나 쌓였을 때보다 위험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 발생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로살얼음이 자주 발생하는 구역 [도로 살얼음이 자주 발생하는 구역] 산모퉁이 음지나 커브길, 교량이나 고가도로, 터널의 입출구

도로 살얼음은 대표적으로 산의 음지나 커브 길, 교량 및 터널에서 많이 발생하는데요.
산모퉁이 음지나 커브 길의 경우 산으로 인해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진 곳에 흔히 발생합니다.
낮에 기온이 오른다고 하더라도, 햇빛을 제대로 받지 못해
빙판이 계속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또한, 공중에 떠있는 교량이나 고가도로도 도로 살얼음이 생기기 쉬운데요.
일반 도로와 달리 지상과 떨어져 있어, 지열이 전달되지 않아
노면 온도가 일반 구간보다 2-3도(℃) 낮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터널의 입출구 구간은 구조물에 의해 그림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도로보다 도로 살얼음이 생기기 쉽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특히 조심해야 할 곳은 어디일까요?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최근 도로 살얼음에 주의해야 할 *고위험 구간 56 곳을 발표했는데요.
자세히 살펴보시고, 이 구간을 이용할 경우 특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한국국토정보공사

(고위험 구간 56곳은 이미지와 같으며, 자세한 내용은 글 맨 마지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끄러운 도로’ 대비 안전 운전법 [‘미끄러운 도로’ 대비 안전 운전법]
            1 주행 전 TV, 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위험을 미리 파악하기 
            2 상습결빙구역을 미리 알아두어 대비하고 주행 시 감속 운전하기 
            3 올바른 자세로 운전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기
            4 급제동, 급가속, 급핸들 조작하지 않기
            5 충분한 차간거리 유지 및 오르막, 내리막 구간에서 꼬리물기 운전하지 않기 
            6 속도를 줄일 때 브레이크를 2~3번 나눠 밟거나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기 
            7 주행 중 차가 미끄러진다면 핸들을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돌리기

도로 살얼음을 포함한 미끄러운 도로에서 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안전 운전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첫 번째로 주행 전 TV, 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위험을 미리 파악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상습결빙구역을 미리 확인해 대비하고 주행 시 속도를 줄이고,
세 번째로 올바른 자세로 운전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야 합니다.

네 번째로 급제동, 급가속, 급핸들 조작을 하지 않고,
다섯 번째로 충분한 차간거리를 유지하고, 오르막,
내리막 구간에서는 꼬리물기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여섯 번째로 속도를 줄일 때 브레이크를 2~3번 나눠서 밟거나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해 서서히 줄여야 하죠.
마지막으로 주행 중 차가 미끄러진다면 핸들은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돌려야 회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주행을 돕는 ‘험로주행모드’ 도로 험로주행 모드 버튼(눈길, 모래길, 진흙길) 이미지

이러한 미끄럼 사고 방지를 보조해 주는 자동차 기술도 있는데요.
바로 현대자동차의 ‘험로주행모드’입니다 이 기능은 빗길, 눈길,
진흙길 등 도로 환경이 좋지 않은 길에서의 안정적인 주행을 돕는데요.
예를 들어 도로 살얼음을 만나 바퀴가 미끄러지며 헛도는 경우,
차에 탑재된 센서가 이를 감지해 바퀴 회전수를 줄이고 제동 제어를 최소화하는 것이죠.

오늘은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범 '도로 살얼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도로 살얼음 사고 예방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겨울철 도로 교통안전 강화 대책으로
결빙 취약 관리 구간 전면 재조사 및 전달 관리팀을 배치했습니다.
또한 사고 대응 체계 구축, 도로 결빙 방지를 위한 신공법 및 신기술 등을 적용했는데요.
이를 통해 도로 살얼음을 대비한 안전 대책은 마련되었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건 개인의 예방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여
다가오는 올 겨울도 안전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 도로 살얼음 고위험 구간 56곳

- 일반국도(28구간)

<도로 살얼음 고위험 구간 - 일반국도(28구간)>
지역 위치 주소
경기도 37호선 중미산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가일리 산64-13
77호선 송촌대교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625
6호선 국수고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도곡리 410-5~양서면 신원리 538-
강원도 31호선 상뱃재 강원도 홍천군 내면 율전리 산103-41
7호선 송현사거리, 밀양고개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현리 248-4~손양면 밀양리 240-4
7호선 용촌육교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 40-15
전라도 29호선 터널입출구 전남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 476-2
23호선 고갯길 전남 영암군 금정면 연소리 300
1호선 고갯길 전남 무안군 삼향읍 지산리 산146
29호선 교량 전남 화순군 이양면 오류리59~이양면 품평리 산173
29호선 교량 전남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 752-13~고서면 주산리 720-1
17호선 말고개 전북 완주군 운주면 구제리 산10-2~운주면 장선리 산48-21
26호선 램프구간 전남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산53-23
경상도 3호선 상습결빙구간 경남 함양군 안의면 대대리 산75-2
31호선 도로 살얼음 취약지구 경북 청송군 현동면 도평리 501-2
5호선 내성천교 경북 영주시 이산면 운문리 192
3호선 진남3교~불정2교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631-1 부근
3호선 동천교~이안교 경북 상주시 이안면 이안리 113-4
3호선 이화령터널~각서1교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각서리 산35-5
5호선 제비원교 경북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8 부근
28호선 우계교 경북 예천군 예천읍 우계 산58-7 부근
31호선 고개구간 경북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446-2~경북 봉화군 재산면 갈산리 192(일월재)
충청도 38호선 박달재터널, 다릿재터널 충북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 342-4~충주시 산척면 송강리 766
3호선 소조령터널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9-7~충주시 수안보면 화천리 산3-5
34호선 적석터널 충북 괴산군 연풍면 삼풍리 산16-16~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산85-10
5호선 죽령고개 충북 단양 대강 당동 25-1~단양 대강 용부원 48-13
34호선 엽돈고개 충북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 291-2~갈월리 산 52-1
39호선 오미니고개 충남 아산시 송악면 역촌리 479-2~송악면 마곡리 350-4

- 고속국도(28구간)

<도로 살얼음 고위험 구간 - 고속국도(28구간)>
지역 위치 주소
경기도 100호선 오르막구간, 방음터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401-1
100호선 오르막구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토동 산90-13
35호선 안개지역, 용면저수지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산121-1
50호선 교량부 경기도 여주지 우만동 99-5
40호선 응당구간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한운리 145
100호선 터널 입출구부 및 장대교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산59-2~삼하1교~노고산1터널(퇴계원)
강원도 55호선 상습 안개 및 응달지역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산117-1
65호선 종단 심한구간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석교리38-12
55호선 상습 안개 및 응달지역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가곡리 516-1
60호선 교량부 강원도 양양군 서면 수리 산163-1
52호선 교량-터널연속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 섬강교
52호선 급커브 곡선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신평리 신평 JCT R-A1교(광)
전라도 35호선 상시 응달구간, 가당리 전북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80-6
35호선 상시 응달구간, 삼가리 전북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 산321-2
27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북 임실군 오수면 군평리 산42-1도
35호선 상시 응달 구간 전북 무주군 부남면 현내리 878-1
27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북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 산114-1도
27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남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산 195-2도
25호선 상시 응달구간 전남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산92-2
12호선 내리막 구간 전남 함평군 함평읍 성남리 1105-7
25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남 장성읍 용강리 산19번지
25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남 순천시 승주읍 신전리 산8-4도
25호선 종단 불량구간 및 결빙 전남 순천시 승주읍 월계리 산41-3임
경상도 55호선 교량구간 경북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 840
55호선 설해취약구간 경북 영주시 풍기읍 전구리 499-5
35호선 상시 응달구간, 금당리 경남 함양군 서상면 금당리 1104-4번지
충청도 251호선 상시 응달구간 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161-8
15호선 상시 응달구간(고절토부) 충남 보령시 내항동 6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