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11월 8일은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널리 알리고 관련 사고의 예방을 돕는 ‘소방의 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소방의 날을 맞이해 1년 중 사고의 위험이 가장 큰 겨울철 화재 사고 예방법과 화재 진압에 힘써주시는
소방관을 도와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소방차 길 터주기 방법’을 알아볼 예정인데요.
그럼 지금 바로 키즈현대와 함께 살펴볼까요?

소방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화재 사고는 총 215,093건이었는데요.
그중 겨울철(11월~2월)에 일어난 화재 사고가 75,727건(35.2%)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화재 사고 사망자 또한 겨울철이 671명(43.6%)으로 가장 높았는데요.
다음으로 봄이 441명, 여름 214명, 가을 210명이었습니다.전체 사망자의 사고 장소를 분석해보면,
‘주거 시설’에서 가장 많은 사고(949건)가 발생했는데요.
이를 통해 추운 겨울철 난방기 사용이 늘어나며 화재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난방기 장시간 사용 시 중간중간 전원 끄기
- 난방기 이용 중 자리 비울 때 콘센트 뽑기
- 난방기 주위에 화재 위험이 있는 물건 두지 않기
- 실내에 현 옷, 신문 폐지 등 가연물 놓지 않기
- 비상 상황에 대비해 대피 구역 미리 확인하기
겨울은 사계절 중 기온이 가장 낮고 건조해 화재의 위험이 높은데요.
또한난방기 사용으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해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난방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는 과열되지 않게 중간중간 전원을 끄고,자리를 비울 때는 콘센트를 뽑아야 하는데요.
또한 난방기를 벽 가까이에 두지 않고 난방기기 주변에 화재의 위험이 있는 물건을 두면 안 됩니다.
이 외에도 실내에 헌 옷, 신문 폐지 등의 불필요한 가연물을 놓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겨울철에는 종종 난방기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려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비상 상황에 대비해 대피 구역을 미리 확인해주세요!

최근 향초를 사용하는 분들이 늘고 있는데요.
특히 겨울철에는 크리스마스와 연말 등의 분위기를 위해 향초를 켜는 일이 많아
향초 관련 화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향초 관련 사고는 총 298건이었는데요.
그 중 겨울철(105건)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다음으로 봄에 발생한 향초 관련 사고가 74건, 여름이 60건, 가을이 59건이었습니다.

- 심지를 다듬고 캔들 라이터로 향초 켜기
- 영유아 등이 닿지 못하는 곳에 두기
- 주변에 냅킨, 행주 등 가연물 두지 않기
- 향초 받침대 및 고정 장치 사용하기
- 자리를 비우거나 잠자기 전 향초 끄기
- 향초가 잘 꺼졌는지 한 번 더 확인하기
다음으로 향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살펴볼까요?
가장 먼저 향초를 사용하기 전에는 심지를 다듬고, 불을 켤 때는 캔들 전용 라이터를 이용해야 합니다.
길거나 구부러진 심지는 고르게 연소되지 않아 그을음이 발생하거나 촛농이 떨어질 수 있는데요.
따라서 심지를 약 6mm로 잘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향초는 영유아 등이 닿지 못하는 곳에 놓아야 하는데요.
또한 주변에 쉽게 탈 수 있는 냅킨과 행주 등의 가연물을 두면 안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향초가 떨어지지 않게 고정 장치 또는 받침대를 써야 하는데요.
받침대는 특히 불연재로 만든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리를 비우거나 잠을 잘 때는 향초를 반드시 꺼야 하는데요.
이때! 불이 잘 꺼졌는지 한 번 더 확인하면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겠죠?

- 교차로 :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일시 정지
- 일방통행로 : 도로 우측 또는 좌측 가장자리에 일시 정지
- 편도 1차선 도로 : 우측 가장자리로 이동 또는 일시 정지
- 편도 2차선 이상 도로 : 긴급 차량이 1차선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2,3차선으로 이동
- 횡단보도 : 안전한 곳에서 긴급 차량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기
소방의 날을 맞이해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5분 이내의 초기 대응이 중요한데요.
따라서 긴급 출동하는 소방차를 마주했을 때는 신속히 길을 터야 합니다.
소방기본법 제21조에 따르면, 출동 중인 소방차에 대한 양보는 선택이 아닌 의무 사항이며
이를 어길 경우에는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렇다면 도로에서 소방차 등의 긴급 차량을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교차로 및 주변에서는 교차로를 피해 도로 우측 가장 자리에 차량을 정차해야 합니다.
단, 교차로모퉁이에 멈추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일방통행로 또한 도로 우측 가장 자리에 차량을 세워야 하지만
긴급 차량의 통행이 어렵다면 좌측 가장 자리에 멈춰도 좋습니다.
편도 1차선 도로에서는 우측 가장 자리로 이동하거나 정차해야 하는데요.
편도 2차선 이상 도로에서는 긴급 차량이 1차선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차선을 2, 3차선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 외에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긴급 차량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지금까지 소방의 날을 맞이해 겨울철 화재 사고 현황과 예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계절이지만 오늘 알려드린 예방법을 잘 지킨다면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텐데요.
또한 출동 중인 긴급 차량을 마주치게 된다면 신속히 길을 터 사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보아요!